국악의 분류
1. 역사적 분류 : 아악, 당악, 향악
- 아악 : 중국 계통의 제례악(문묘제례악)
- 당악 : 아악을 제외한 중국 계통 음악의 통칭(당나라 음악, 송나라 중국 속악)
- 향악 : 우리나라 제례음악(삼국시대 음악, 고려시대 속악, 조선초기 창작음악)
2. 현행 분류 : 정악, 민속악, 창작악, 의식악
- 정악 : 조선시대 궁중 음악, 지식인 계층 사이에서 유행하던 풍류 음악(여민락-세종대왕, 영산회상-불교곡)
- 민속악 : 민중사회에서 형성되고 애호된 음악(판소리, 민요)
- 의식음악 : 제사, 종교의식 관련 음악(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무속음악)
- 창작악 : 서양음악 유입 후 새롭게 작곡된 국악기 중심음악
한국음악의 장르와 범주
1. 생활음악
- 평민들의 생활음악 : 민요(서도민요, 경기민요, 동부민요, 남도민요), 농악(경기농악, 영동농악 등)
- 양반들의 생활음악 : 정악(영산회상, 여민락), 정가(가곡, 가사, 시조)
2. 예술음악
- 판소리 :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 잡가 : 12잡가, 휘모리잡가
- 산조 : 가야금산조, 거문고산조, 대금산조
- 통속민요 : 서도민요, 경기민요, 동부민요
- 시나위, 산조합주
- 사물놀이 : 삼도농악, 동해안별신굿
3. 종교음악
- 유교 - 제례악 :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 불교 - 범패 : 짓소리, 홋소리, 화청, 회심곡
- 무속신앙 - 굿음악 : 경기도당굿, 동해안 별신굿
- 민간신앙 - 민간의식요 : 손비빔, 주당맥이, 고사소리
4. 의례음악
- 궁중음악 - 행진음악, 무용반주악 : 취타, 수제천, 향당교주
- 지방관아 음악 : 삼현육각, 대풍류
평조와 계면조
- 일반적으로 한국음악은 주로 5음 음계로 된 평조와 계면조로 설명됨
- 현재 전하는 국악곡들 중 정악의 대부분은 평조와 계면조로 설명될 수 있지만 민속악의 경우 평조와 계면조 선법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1. 평조
-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하면 '솔, 라, 도, 레, 미'의 음간격과 같음
- 비교적 편안하고 차분한 느낌
- 서양의 장조와 비슷, '솔선법'이라고도 함
- 황종평조 : 황종(E플랫)이 주음이 되는 솔선법
2. 계면조
-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하면 '라, 도, 레, 미, 솔'
- 평조보다 시김새(장식음)도 많고 화려해서 더욱 구성진 느낌
- 임종 계면조 : 임종(B플랫)이 주음이 되는 라선법
국악의 장단
- 장단 : 일정한 길이의 리듬형
- 한국음악은 장단이 없는 것부터 복잡한 장단의 복합까지 다양
- 대개는 일정한 장단에 맞추어 노래하거나 연주
- 고수 : 장단의 전형적 리듬만 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의 첫 장단 이외에서는 변화 리듬을 사용, 추임새를 악구나 악절 끝에 붙임
- 리듬 : 언어와 밀접한 관계, 한국음악은 강박으로 시작해 약박으로 끝난다(서양 음악은 약박->강박)
- 장구를 치는 순서 : 합장단(쌍), 채편(편) ,북편(고), 굴림채(요)
장단의 이해
박의 개념
- 사람들이 음악을 들으며 세는 단위가 박
- 우리나라는 3소박이 발전
소박
- 박에는 중위가 있다 : 1박은 2개 or 3개의 소박으로 이루어진다
소박의 여러가지 형태
- 2소박 : 2소박 4박 = 4/4박자
- 3소박 : 3소박 4박 = 12/8박
- 혼소박 : 혼소박 4박 = 3+2+3+2/8
박자
- 서양음악의 박자는 강세의 주기가 기준
- 한국음악은 장단을 기준으로 박자를 결정
- 한국음악에 가장 많은 박자는 3소박 4박자(자진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타령, 살풀이 등)
- 궁중음악, 양반음악에는 20, 10, 12, 6, 4, 불규칙 박자가 사용
- 민속 음악에는 더욱 다양한 박자가 사용
장단
- 리듬구조 + 강약주기를 포함하는 개념
- 굿거리, 중모리, 자진모리는 모두 12/8박자로 강세 위치 동일
- 자진모리와 중중모리는 같은 리듬구조, 다른 속도(자진모리 속도 > 중중모리 속도)
장구형
- 장단과 장구형은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 장단은 장구 없이도 악곡 내에 존재하는 리듬꼴
장단의 유기성
- 장단은 속도의 변화에 의해 유기성을 갖기도 한다
-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는 구조가 같고 속도에 의해 구분되는 장단
한배
한국음악의 속도 개념 : 한배가 빠르다, 한배가 느리다
장르별 장단 사용 양상
1. 민요 : 장구반주가 없기 때문에 장단이름 사용X
2. 산조와 판소리 :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단모리, 엇모리, 엇중모리, 세산조시
3. 무악과 시나위 : 각 지역별로 독특한 장단 사용
4. 농악 : 무속음악과 같이 각 지역별로 독특한 장단 사용
지역별 장단 사용
1. 무속음악, 농악의 장단은 지역별로 다른 특성
2. 민요장단
- 서도지역 : 굿거리, 타령, 만세받이 등
- 경기지역 : 굿거리, 세마치
- 동부민요 : 혼소박 장단형 민요가 많음, 리듬이 발달한 지역
- 남도민요 : 판소리 장단 활용 많음,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을 민요에 사용
3. 민속음악
- 민요 : 장구반주X, 장단이름 사용X
- 산조, 판소리 :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단모리, 엇모리, 엇중모리, 세산조시
- 무악, 시나위 : 굿거리, 살풀이, 청보, 제마수, 만세받이, 연물
- 농악 : 세마치, 일체 ,이채, 삼채, 영산굿, 노래굿
4. 초등음악교육에서 사용되는 장단
'교육대학교 수업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교과교육론 : 벤두라의 사회인지학습이론 (0) | 2024.05.29 |
---|---|
도덕교과교육론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0) | 2024.05.29 |
사회과교육의 목표 모형 교육과정 조직 원리 좋은 수업 (0) | 2024.04.24 |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변천 (1) | 2023.09.19 |
학습장애 학생의 특성 및 교수전략 (2) | 2023.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