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호 결정론으로서의 사회인지학습이론
1) 사회인지학습이론(행동주의+인지주의)
- 행동주의 학습이론 : 조건반응의 '원인-결과'로 보여짐
- 사회인지 학습이론 : '원인-결과'의 중간과정에 작용하는 매개변인을 인지적으로 다루고 결부
- 상호결정론 : 인간발달은 개인(P), 행동(B), 환경(E) 사이의 양방향적 상호작용을 나타냄
* 개인(Person) : 인지능력, 신체적 특성, 신념과 태도
* 행동(Behavior) : 운동반응, 언어적 반응, 사회적 상호작용
* 환경(Environment) : 물리적 환경, 가족과 친구, 기타 사회적 영향
2. 벤두라의 기본 입장 : 관찰학습
1) 벤두라의 사회인지학습 이론
- 도덕적 행위의 결정요인으로서의 강화 : 온정적이고 강화를 제공하는 성인들의 바람에 따르려고 동기화됨.
- 도덕적 금기사항을 확립하는 과정에서의 처벌의 역할
~ 엄격한 처벌이 즉각적, 일관적으로 시행될 때 효과적
~ 적절한 인지적 설명 제공은 효과를 높임
- 인지적 설명
~ 인지적 설명 O : 내적귀인 -> 죄책감 등을 느껴 문제 행동 X
~ 인지적 설명 X : 외적귀인 -> 처벌이나 감시자 없다면 다시 문제 행동
~ 진정한 자기통제는 인지적 통제를 받게 되며 공포나 불안보다 아동의 생각이 중요
- 도덕적 자아 개념 훈련
2) 관찰학습
- 행동주의적 접근과 다름
- 인지과정이 포함된 간접적 경험
- 외현적인 행동 반응이나 직접적인 강화 없이도 관찰학습 가능
- 단순 모방학습이 아닌 인지적 과정으로 해석
- 대리강화/대리처벌 : 다른 사람에게 강화/처벌을 한 모습을 보고 강화/처벌 효과가 똑같이 나타남
- 벤두라는 모델링 혹은 관찰학습을 강조
- 관찰학습의 4가지 구성 요소
* 주의집중 과정 : 선택적 주의집중
* 파지 및 기억과정 : 언어·상징 등을 통해
* 운동재생과정 : 관찰된 행동을 수행, 자아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 미침
* 동기화과정
3) 관찰학습의 효과
- 관찰학습이 더 잘 일어나는 경우 : 동성 모델, 좋은 보상, 모델의 지위
- 단순 모델 관찰로 행동 변화X, 모델이 자신에게 주는 의미를 인지적으로 파악해 의식적으로 수용할 때 학습 효과↑
3. 도덕적 이탈의 메커니즘
1) 도덕적 정당화 : 유해한 행위가 사회적으로 가치 있고 도덕적인 목적에 기여한다고 생각
2) 완곡한 표현 : 완곡한 언어로 개인적인 책임을 줄임
3) 유리한 비교 : 대조의 원리로 행위를 의롭게 변화시킴
- 도덕적 정당화에 공리주의적 기준 의존
- 이중효과의 원칙 : 보다 큰 악을 피하기 위해 보다 작은 악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
4) 책임의 전가 : 능동적인 역할을 흐림 (ex. 밀그램의 실험 - 전기충격버튼 실험)
5) 책임의 분산 : 책임의 사회적 분산으로 행위의 주체 흐림
6) 결과에 대한 무시 내지 왜곡 : 행위의 결과를 간과, 최소화, 왜곡
7) 비인간화 : 인간 이하의 대상으로 전락시킴
도덕적 이탈의 예시 상황 : 가게에서 물건을 훔침 | |
도덕적 정당화 | 물건 훔친 돈으로 책을 사는 게 더 가치있어 |
완곡한 표현 | 물건을 훔친게 아니라 잠깐 빌린거야 |
유리한 비교 | 아이패드를 훔친 것도 아닌데 큰 잘못이 아니야 |
책임의 전가 | 원래 가격보다 비싸게 팔고 있으니 훔친게 잘못이 아니야 |
책임의 분산 | 다른 친구들도 물건을 훔쳐 |
결과에 대한 무시 내지 왜곡 | 준비물 훔친 정도는 큰 문제가 아니야 |
비인간화 | 편의점 주인이 무정한 사람이라 괜찮아 |
* 도덕적 이탈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유해 행위에 대한 낮은 죄책감을 가진다.
* 도덕적 행위는 개인적 제재(규제, 도덕적 자아) 및 사회적 제재(대리강화)의 효혜적인 상호작용의 산물
4. 자기효능감
1) 자기효능감
- 자신이 어떤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개인적 신념, 어떤 행동을 모방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
* 자아효능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해 /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가치에 대해
2) 자기효능감의 형성 근원
- 성공의 경험 : 자기효능감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 (↔ 실패는 자아효능감 약화)
- 대리적 경험 : 자신과 비슷한 사람의 성공 (↔ 집단의 지지부진한 수행은 자아효능감 약화)
- 언어적 설득 : "너만이 할 수 있어" 긍정적 칭찬 (↔ 비현실적 신념 강화는 자아효능감 약화)
- 생리적, 정서적 상태 (↔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는 자아효능감 약화)
5. 사회인지학습이론의 공헌과 비판
1) 공헌
- 아동의 유혹 저항과 도덕기준 위반 행위 억제에 실제적 도움 (관찰학습 - 대리강화/대리처벌)
- 추론과 발달을 넘어 행동적 수행을 강조
2) 비판
- 관찰학습은 다양한 복잡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행동의 학습을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다.
-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학습 관련 인지수준 고려 X
'교육대학교 수업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교과교육론 : 콜버그의 인지발달 이론 (0) | 2024.05.30 |
---|---|
도덕교과교육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0) | 2024.05.29 |
도덕교과교육론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0) | 2024.05.29 |
사회과교육의 목표 모형 교육과정 조직 원리 좋은 수업 (0) | 2024.04.24 |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변천 (1) | 2023.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