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교 수업정리24 도덕교과교육론 : 벤두라의 사회인지학습이론 1. 상호 결정론으로서의 사회인지학습이론1) 사회인지학습이론(행동주의+인지주의) - 행동주의 학습이론 : 조건반응의 '원인-결과'로 보여짐 - 사회인지 학습이론 : '원인-결과'의 중간과정에 작용하는 매개변인을 인지적으로 다루고 결부 - 상호결정론 : 인간발달은 개인(P), 행동(B), 환경(E) 사이의 양방향적 상호작용을 나타냄 * 개인(Person) : 인지능력, 신체적 특성, 신념과 태도 * 행동(Behavior) : 운동반응, 언어적 반응, 사회적 상호작용 * 환경(Environment) : 물리적 환경, 가족과 친구, 기타 사회적 영향 2. 벤두라의 기본 입장 : 관찰학습1) 벤두라의 사회인지학습 이론 - 도덕적 행위의 결정요인으로서의 강화 : 온정적이고 강화를 제공하는 성인들의 바람에 .. 2024. 5. 29. 도덕교과교육론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1. 정신분석이론 1)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요소인 정신 결정론으로 구분하여 인간의 행동을 결정2) 인간의 정신에 의식, 전의식, 무의식이 영향을 미침 2. 인성의 세 구조1) 이드(id) - 유전적, 본능적, 원초적 - 정신에너지의 저장소, 인성의 엔진, 쾌락의 원리에 따라 움직임 2) 자아(ego) - 의식적, 합리적 인성의 집행자 - 이드를 제어하고 통제 - 이드와 초자아 사이의 균형 3) 초자아(super ego) - 도덕적 계율, 규정, 부모의 규칙을 어긴 경우 가해지는 자기 처벌 경향성 등으로 구성 - 3~6세경 도덕적 가치와 부모의 기준을 내면화하여 형성 - 인성의 도덕적인 부분 혹은 재판관 3. 프로이트 성격발달의 5단계1) 구강기 (~ 1세) - 고착현상 - 소극적 구강기 : 애정결핍 .. 2024. 5. 29. 사회과교육의 목표 모형 교육과정 조직 원리 좋은 수업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1. 사회과교육의 세 가지 전통시민성 전달 모형사회과학 모형반성적 탐구 모형 2. 사회과교육 모형별 특징 시민성 전달 모형사회과학 모형반성적 탐구 모형기원/배경원시 가부장적 시대1960년대자유교과20세기 초급격한 사회 변동특징대중의 지지전달해야할 가치와 지식有스푸트니크 충격 이후 급부상학문의 구조 강조상대주의적 가치관가치 갈등 당연시목표애국심 강한 시민(올바른 지식, 적절한 행동, 권위 수용, 참여, 수용과 복종)꼬마 사회과학자(과학적인 사고와 행동)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시민(반성적인 문제 해결)내용문화 내에서 전통으로 굳어.. 2024. 4. 24.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