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대학교 수업정리24

도덕교과교육론 :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1.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개념 2. 블라지 이론에서 중요한 물음1)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은 도덕적 통합으로 설명됨2) 도덕성과 자아가 어떻게 통합되는가?3) 왜 통합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는가?4) 도덕적 통합 이후에 어떻게 유지되는가? 3.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과정 - 도덕성과 자아는 분리된 개념 -> 통합(내면화)를 통해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 4. 도덕적 동기화1) 도덕적 동기화- 정서적인 동기부여(자신이 옳다고 판단한 것에 대한 책임감이나 헌신)가 있어야 도덕적 행동으로 이끄는 동기화가 가능- 공감이나 죄책감에 의한 행동도 도덕적 행동이라 할 수 있는가? 블라지: 그때그때 다르다.2) 블라지 : 도덕적 동기화 방안- 자아모델(Self Model) ~ 도덕적 인지의 한계 지적 -> 도덕적 동기.. 2024. 5. 30.
도덕교과교육론 : 레스트의 복합 발달 모형 0. 도덕교육의 목적벤두라 (행동주의+ 인지주의)- 강화와 처벌의 조작, 모델링과 관찰학습(대리강화, 대리처벌)프로이트- 도덕성 : 초자아의 발달, 동일시와 내면화피아제- 도덕성 발달은 인지발달과 같다.- 추론의 내용보다 추론을 낳게 한 구조 혹은 추론의 형식 강조- 도덕문제 해결 : 타인의 입장에서 역할채택, 입장채택콜버그 (도덕적 면담법)- 도덕 교육의 목적 : 도덕적 추론 능력- 도덕교육의 방법 : 딜레마 토론(+1전략, 블래트 효과) 1. 레스트의 복합 발달 모형 (콜버그 계승)1) 신콜버그 학파2) 인지 강조 : 감정·행동 3) 도덕성의 기본적인 카테고리는 개인에 의해 구성됨4) 도덕발달 : 도덕 판단의 발달과정을 복잡한 개념으로 진화하는 것으로 이해 2. 레스트의 단계발달의 특징 (콜버그와의 .. 2024. 5. 30.
도덕교과교육론 : 피터스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피터스의 도덕교육 배경1) 콜버그의 발달 이론 비판 - 도덕성의 복잡한 영역을 정의라는 단일적 측면으로 제시 - 콜버그는 도덕성의 정서적 역할을 간과 - 모든 덕이 동일한 양상을 띠고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이론 2. 도덕성 발달 이론1) 도덕성 - 학생들로 하여금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 - 타율적 인습적 도덕성 - > 합리적 자율적 도덕성 2) 인격의 세가지 기능 - 입법적 기능 - 집행적 기능 - 심판적 기능  3. 피터스의 도덕성 발달 단계1) 자아중심적 단계 - 처벌을 피하고 보상을 얻기 위해 도덕규칙에 순응2) 규칙준수 단계 - 규칙을 그 자체로 바라보고 순응 - 도덕성 발달을 위해 모방과 동일시, 규칙에 대한 복종 경험 필요3) 자율성 단계 - 도덕 규칙의 정당성을 비판적으로 검..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