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대학교 수업정리24

도덕교과교육론 : 뒤르켐의 도덕사회화론 1. 뒤르켐 이론의 배경 1) 객관성이나 실증성에 근거하지 않은 도덕의 관념과 철학 비판 2) 도덕은 사회에 의해 창조된 것으로 사회적 실재 2. 뒤르켐 이론 1) 도덕 : 한 사회의 도덕적 실재를 반영하는 행위 규칙의 체계 2) 도덕성 : 사회화의 산물, 절대적X 3) 도덕적 사회화 : 도덕성의 3요소의 개발에 의해 이루어짐  * 도덕성의 3요소 : 규율정신, 사회집단에 대한 애착, 자율성 3. 뒤르켐의 도덕 사회화론 - 개인의 바깥에는 사회만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도덕적 목표의 대상은 사회이다. -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집단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4. 도덕교육의 목표 1) 규율정신 : 도덕성의 제1요소, 규칙성과 권위로 구성 2) 사회집단에 대한 애착 : 제2요소, 사회집단의 이익,.. 2024. 5. 30.
도덕교과교육론 : 콜버그의 인지발달 이론 1. 콜버그 도덕교육 이론의 배경1) 1960낸대 초반 : 도덕성은 정신분석학적 설명이나 행동주의적 설명에 기초함2) 콜버그는 도덕성의 성격에 대한 관심 없이 도덕덕 획득의 매커니즘 고려가 불가능하다 주장3) 심리학적 관점과 도덕철학적 관점의 종합적 안목에서 도덕발달과 도덕 교육을 논의함 2.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1) 도덕성 : 옳고 그름에 가치를 둠 (정의의 도덕성)2) 도덕 교육 : 상향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덕성의 발달을 촉진하는 과정3) 또래간 상호작용은 역할채택기회의 한 유형일뿐 * 피아제는 또래간 상호작용 강조4) 도덕 딜레마 실험(도덕 판단 면담) 실시 - 도덕적 발달은 3수준 6단계 - 각 수준과 단계는 인지발달 능력에 의존, 불변의 계열성 이룸 - 단계가 높아질수록 도덕성 적절성이 높.. 2024. 5. 30.
도덕교과교육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피아제가 가정한 인지발달 이론의 가정 (방법론, 질적차이)1) 단계들은 질적 차이를 나타냄 ( ↔행동주의 : 양적 차이) 2) 단계들은 불변적 계열을 형성, 변할 수 없는 연속적인 순서 형성 - 한 번에 한 단계씩 상향 이동 - 도덕 추론에서 퇴행 불가능 ( ↔ 콜버그는 퇴행 가능하다고 생각) 3) 각 단계와 사고방식은 구조화된 전체를 이룸 4) 단계들은 위계적 통합체 5) 과도기에는 두 단계의 인지적 특징이 함께 나타날 수 있음 ->  인지발달 단계에 이르지 않았다면 교육을 해도 소용이 없다.- ex) 지구와 태양 중에 어느 것이 더 큰가? ~ 4살 : 태양이 지구보다 작게 보이므로 지구가 더 크다. ~ 7살 : 태양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작게 보일 뿐이다. * 피아제 이론- 뒤르켐 비.. 2024.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