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대학교 수업정리

[사회교과교육론] 개념학습

by 혼자하는 영어 공부 2024. 6. 17.

1. 개념

: 유사한 대상이나 현상의 공통된 특성이나 요소를 추출하여

이 요소들을 기준으로 하나의 범주로 분류하기 위해 만든 추상적 용어

- 공통된 특성에 기초

- 인위적으로 만든 용어

- 추상적 용어

 

2. 개념의 속성

1) 결정적 속성 (정의적 속성) : 다른 개념과 그 개념을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속성

2) 비결정적 속성 (일반적 속성) : 그 개념에 속한 것이지만 다른 것들과 구별할 때 결정적인 요소가 되지 않는 속성

 

3. 개념의 '예'와 '비예'

1) 대표 사례 (긍정적 사례) - 결정적 속성 같고 비결정적 속성 다름

- 공통된 속성을 모두 가진 전형적인 사례

- 실제 대상이나 현장에 적용하여 추상적인 개념을 쉽게 이해하도록 사용됨

 

2) 비예 또는 예가 아닌 것 (부정적 사례) - 결정적 속성 다르고 비결정적 속성 유사

- 비결정적 속성을 갖고 있기에 실제로는 관계가 없는 사례

- 학생들이 추상적 개념을 다른 개염과 구별하여 더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4. 오개념

: 개념 학습 과정에서 개념의 속성을 잘못 인식하거나 그 개념에 포함되는 대상을 잘못 분류하여 인식하고 있는 상태

 

5. 상위 / 하위 / 동위 개념

- 상위개념 : 개념의 위계관계에서 더 높은 위치에 있고 매우 포괄적인 현상을 설명하는 것

- 하위개념 : 상위개념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더 한정된 현상을 설명하는 것

- 동위개념 : 개념의 위계관계에서 동등한 위치를 갖고 비슷한 유형의 현상

 

6. 접합 / 이접 / 관계 개념

- 접합개념(결합개념) : 몇 가지 속성 또는 구성 요소들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념

- 이접개념 : 서로 독립적인 속성들 또는 구성요소들 중에 한 가지로 형성되는 개념

- 관계개념 : 하나가 다른 것을 전제로 하고 두 요소가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

 

7. 개념학습의 의미와 목표

1) 목표 : 우리가 경험하는 현상들을 공통된 속성으로 파악하여 일반화하고, 이를 통해 개념의 긍정적 사례와 부정적 사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2) 목적 : 이해력과 통찰력 향상, 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안목 기르기

 

8. 개념학습의 교육적 효과

1) 복잡한 여러 현상이나 조직되지 않은 여러 정보를 단순화시켜 볼 수 있게 한다.

2) 대상을 관계 짓고 사태를 관계 짓는데 도움을 준다.

3) 언어나 기호로 표시되고 체계성이 있기에 지식의 축적 및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4) 우리 주위의 대상을 확인 또는 재확인할 수 있게 한다.

5) 연구의 출발점과 방향, 범위를 정해주고 조작 과정에서 연구의 변수와 지표를 설정해준다.

 

9. 개념학습 방법

개념 학습 모형의 비교
구분 속성모형 원형모형 상황모형
특징 결정적 속성을 통한 학습 원형(대표사례)를 통한 학습 상황 또는 경험을 통한 학습
비판 - 결정적 속성을 지닌 사회과학의 개념이 적음

- 사회과학적 개념들의 중첩성

- 학생들이 결정적 속성을 추출하기 어려움
- 사람들이 원형에 의거해 대상을 분류하지 않음

- 여러 사례들이 한 개념에 분리되는 기준을 분명하게 제시하기 어려움
- 특정 상황에서 도출된 개념은 모든 상황에서 보편화되기 어려움

- 배경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학생은 이해하기 어려움
교수
학습
과정
1) 문제 제기
2) 개념의 정의
3) 개념의 결정적·비결정적 속성 검토
4) 개념의 예·비예 제시
5) 개념의 이해도 확인
6) 관련 사회현상 검토
1) 문제 제기
2) 개념의 원형(대표사례) 제시
3) 개념의 비예 제시
4) 개념의 속성 검토 및 개념 정의
5) 개념의 분석 및 이해도 확인
6) 관련 사회 현상 검토
1) 문제 제기
2) 개념과 관련된 상황 또는 경험 제시
3) 개념의 예·비예 제시
4) 개념의 속성 검토 및 개념의 정의
5) 개념의 분석 및 이해도 확인(적용)
6) 관련된 사회 현상 검토
적합성 구체적 개념 학습 추상적 개념 학습  

 

10. 개념학습 적용 과정과 방법

1) 개념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분석 틀의 작성

2) 분석의 실제 : 어떤 개념학습 모형 적용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분석

3) 개념학습 수업지도안의 구체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