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4 도덕교과교육론 :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 덕교육 1. 덕윤리의 등장 배경1) 덕윤리 - 개인 성품에 관한 사상. 정의로움, 정직함, 성실함, 충실함 등 - 어떤 행위가 옳은지 특정한 성품 (미덕) - 도덕적 동기에 대해 자연스럽고 매력적인 설명 가능2.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 소크라테스의 덕 윤리 - 지행합일설 : 보편적 지식의 추구와 실천 - 무지의 자각을 역설 : 지혜를 얻기 위한 첫 단계 - 대화법 : 반어법(논박), 산파술1) 사람의 성품에 관심. 도덕적 성품은 도덕적 행위를 하려는 성향 및 태도 2) 윤리학적 이론의 역할을 부정 * 윤리학적 이론 : 구체적인 도덕적 상황에서 원리를 적용해서 행동하면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다. 3) 덕은 지식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선한 행위를 하려는 도덕적 실천의지 필요 4)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의 핵심.. 2024. 5. 30. 도덕교과교육론 : 배려 윤리 길리건 나딩스 1. 길리건1) 길리건 이론의 배경 - 콜버그가 남성만 표본으로 연구 진행 -> 여성의 도덕 발달이 미약하게 나타남 - 도덕성은 정의와 배려라는 두 도덕성으로 구성 - 배려의 목소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함 - 하인츠 딜레마에 대한 11세 남녀 아동의 대답 인용 ~ 남아 : 딜레마를 수학적 문제로 규정 ~ 여아 : 사적인 관계, 대화를 통한 합의 2) 길리건: 발달 단계제 1수준자기중심적 단계제 1.5수준(과도기)이기심에서 책임감제 2수준책임감과 자기희생의 단계제 2.5수준(과도기)선에 대한 관심 -> 진실에 대한 관심제 3수준자신과 타인에 대한 배려의 단계 3) 길리건 이론: 배려 윤리 교육 방법 - 역사와 문학(귀납)을 수학이나 과학(연역)과 동등하게 가르쳐야 한다. - 실제 삶에서 도덕.. 2024. 5. 30. 도덕교과교육론 : 뒤르켐의 도덕사회화론 1. 뒤르켐 이론의 배경 1) 객관성이나 실증성에 근거하지 않은 도덕의 관념과 철학 비판 2) 도덕은 사회에 의해 창조된 것으로 사회적 실재 2. 뒤르켐 이론 1) 도덕 : 한 사회의 도덕적 실재를 반영하는 행위 규칙의 체계 2) 도덕성 : 사회화의 산물, 절대적X 3) 도덕적 사회화 : 도덕성의 3요소의 개발에 의해 이루어짐 * 도덕성의 3요소 : 규율정신, 사회집단에 대한 애착, 자율성 3. 뒤르켐의 도덕 사회화론 - 개인의 바깥에는 사회만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도덕적 목표의 대상은 사회이다. -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집단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4. 도덕교육의 목표 1) 규율정신 : 도덕성의 제1요소, 규칙성과 권위로 구성 2) 사회집단에 대한 애착 : 제2요소, 사회집단의 이익,.. 2024. 5. 30. 이전 1 2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