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교과교육론2

초등 임용 수학 : 폴리아 문제 해결 학습 모형 가. 문제 해결 4단계(1) 문제의 이해(SEE)구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자료는 무엇인가? 조건은 무엇인가? (2) 해결 계획의 수립(PLAN) - 특수한 문제 해결 전략전에 이와 유사한 문제를 풀어본 경험이 있는가?(유추적 사고)관련된 문제를 알고 있는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정리를 알고 있는가?어떤 전략을 선택했으며 왜 그 전략을 사용하려고 하는가? (3) 해결 계획의 실행(DO) (4) 반성(CHECK)구한 답이 문제의 조건에 맞는가? 계산은 정학한가? (문제 해결 과정 검토하기)다른 풀이 방법이 더 있는가? (다른 해결 방법 탐색하기)문제의 조건을 바꾸어 문제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보시오. (조건을 변경하여 새로운 문제 만들기) 나. 특수한 문제해결 전략(1) 실제로 해 보기.. 2025. 1. 13.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변천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변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시점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1949년 교육법을 제정한 이듬해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식적인 교육과정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 지금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총 11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아직 시행되기 전이기 때문에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하단에 총정리 PPT 첨부하였습니다. 개항 이후 서양식 수학이 들어온 것은 1893년 개항 이후입니다. 서양식 수학은 '산술'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산술이 주목을 받기 전부터 산술교육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었습니다. 국가가 책임을 지고 아이들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입니다. 1895년 .. 2023.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