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과교육론2 사회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유형 바, 바스, 셔미스 넬슨과 마이클리스 사회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유형1. 바, 바스, 셔미스사회과교육의세 관점시민성 전달(전수) 모형사회과학 모형반성적 탐구 모형교육목표애국심이 강한 시민꼬마 사회과학자합리적 의사 결정자교육내용사회 유지에 필요한 핵심적인 지식과 가치사회과학적 탐구 방법사회과학의 개념 및 일반화학생의 필요와 흥미를 반영한 사회적 갈등문제와 개인적 갈등 문제교육방법직접적인 전달 방식탐구 학습반성적 탐구와 토론장점사회 유지와 안정 도모개념과 일반화에 대한 이해급변하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직면하는 문제 해결에 적합단점가치 주입교육 내용의 미화행위로 실행X행위로 실행X문제의성격전통적으로 강조된 문제기득권 세력이 중시하는 문제과학적 문제(사실 문제, 사회과학적 문제)일상적 문제(사실과 가치가 혼합된 문제) 2. 넬슨과 마이클리스넬슨.. 2025. 2. 1. 초등 임용 사회 : 개념 학습 모형 속성모형 원형모형 상황모형 개념 학습 모형개념 : 우리가 경험한 대상이나 현상을 어떤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이름을 붙인 추상적인 용어(현상을 관찰하여 공통된 성질로 범주화하고 명명한 것)개념 학습의 장점 : 효율적인 이해 가능개념 학습의 유형 : 속성 모형, 원형 모형, 상황 모형개념학습 관련 용어상위 개념높은 위치, 포괄적인 현상하위 개념낮은 위치, 한정된 현상동위 개념동등한 위치, 비슷한 유형의 현상예시사람, 여자, 남자의 관계 : '사람'은 상위 개념 / '여자', '남자'는 하위 개념 / '여자'와 '남자'의 관계는 동위 개념접합 개념(결합 개념)여러 특징이 모여 하나의 개념 구성 (ex. 사회 계층 : 소득 수준, 교육 수준 등)이접 개념하나의 개념을 구성하는 특징의 대안이 여러 개 (ex. 국민 : 태어난 곳.. 2025. 1. 9. 이전 1 다음